나는 학교에서는 워드를 썼고, 회사에서는 늘 한글(HWP)을 썼다. 두 프로그램을 병행해 써본 입장에서 느낀 건, 이 둘은 단순히 문서 작성 도구가 아니라 아예 기반 철학 자체가 다르다는 점이었다.
특히 한글 프로그램은 한국에서만 독자적으로 발전한 만큼, 익숙해지면 편리한데도 해외 유저에게는 낯설다. 이 글에서는 한글 프로그램이 뭔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MS Word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정리해본다
.
한글(HWP) 프로그램이란?
한글은 '한글과컴퓨터(Hancom)'에서 개발한 워드 프로세서다. 파일 확장자는 .hwp이고, 보통 "한컴오피스"에 포함되어 있다.
공공기관에서는 대부분 이 프로그램을 기본 문서 편집기로 사용한다. 실제로 대한민국 정부는 한글 문서(HWP) 형식을 공공 표준 문서 형식으로 지정하고 있어서, 업무보고서, 공문, 회의록, 각종 양식들이 한글로 작성된다.
MS Word와 가장 큰 차이점은?
한글과 워드는 똑같은 워드 프로세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써보면 차이가 꽤 크다. 나는 특히 아래의 4가지 부분에서 차이를 많이 느꼈다.
1. 문단 단위 편집 vs 줄 단위 편집
- 한글은 문단 단위로 조작하는 구조다. 줄 간격이나 정렬을 바꾸면 문단 전체가 움직인다.
- MS Word는 한 줄, 한 문장 단위로 커스터마이징하기가 조금 더 유연하다.
2. 표 기능
- 한글에서는 표 만들기와 줄 세우기가 훨씬 강력하다. 셀 병합, 정렬, 수식 계산까지 간단하다.
- 워드는 표 안에 뭔가를 넣을 때 항상 마우스로 한참 조절해야 해서 답답할 때가 많다.
3. 호환성과 국제 표준
- MS Word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PDF, Google Docs, Mac 등과의 호환성이 뛰어나다.
- 반면 한글은 HWP 포맷 자체가 닫힌 구조라서,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열리지 않거나 깨지는 경우가 많다.
4. 기본 폰트와 인쇄 출력
- 한글은 공문서 출력에 최적화된 폰트와 서식이 많다. 보고서, 공문 등 '양식 문서'에 특히 강하다.
- 워드는 레이아웃이 깔끔하고 세련된 느낌이 있지만, A4 양식 출력은 오히려 한글보다 어렵게 느껴질 때도 있었다.
왜 공공기관은 아직도 한글을 쓸까?
이건 단순한 '관성' 때문만은 아니다.
정부 기관과 학교, 병원 등은 여전히 한글 기반의 전자결재 시스템이나 서식들이 널리 쓰이고 있어서 바꾸기 어렵다.
또한 공문서 보안이나 한글 전용 서체 문제도 있어서, 워드나 구글 Docs로는 대응이 힘든 부분도 있다.
한글과 워드 프로그램은 비슷하면서도 기능 차이가 은근 있기 때문에, 두 프로그램을 적절히 병행해 쓰는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 같다. 다음 글에서는 '한글 프로그램 설치법'과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려 한다.
'각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문서 열리지 않을 때 해결 방법 – hwp 파일 깨짐, 호환성 오류 (0) | 2025.05.04 |
---|---|
2025년 최신 한글 프로그램 설치 방법 – 무료 설치 가능할까? (0) | 2025.04.30 |
[내돈내산] 사무실 슬리퍼, 피퓨 족저근막 자세균형 슬리퍼 후기 (0) | 2025.04.29 |
사무실 탁상용 선풍기 구매후기[내돈내산] 솔러스에어 테이블팬 AIR601RF 리뷰 (0) | 2025.04.29 |
챗GPT 기초 사용법: 나만의 효율적인 답변 얻기 (0) | 2025.04.29 |